OS/Linux 기초
13. ACL (Access Control List)
yeommm
2019. 9. 1. 17:09
ACL이란 접근 제어 목록으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확장 속성 중 하나이다.
특정 사용자 혹은 그룹의 권한을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줄 수 있는 기능이다.
즉, 파일에 ACL 설정을 함으로써 여러 사용자가 그 파일을 소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1) ACL 확인
getfacl file1
-> acl 설정 이전 기본 정보는 ls 명령어 결과과 동일하다.
-> acl 설정 이후에는 ls 명령어로 정확한 확인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getfacl 명령으로 확인을 진행해야 한다.
(2) ACL 설정
setfacl [option] [] file
*옵션 및 형식
-m : acl 추가/수정
1. 특정 사용자를 대상으로 ACL 설정
-> setfacl -m u:uid:권한 /file1
2. 그룹을 대상으로 ACL 설정
-> setfacl -m g:gid:권한 /file1
3. 다른 사용자(other)에 대해 ACL 설정
-> setfacl -m o:권한 /file1
-x : acl 삭제
->setfacl -x u:uid /file1
-b 옵션: 모든 acl 삭제 (지정한 권한 모두 삭제)
-> setfacl -b /file1
-R : 하위 디렉토리/파일까지 acl 변경
ex) setfacl -m u:korea:rwx /file1
setfacl -o:r-x /file2
setfacl -x u:korea /file1
setfacl -b /file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