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Linux 설치
* 가상머신 조립
VM ware 설치 -> create -> custom -> workstation 12.0 -> I will install the operating system later -> centos64bit -> 이름 및 저장 위치 설정 -> cpu 1(기본설정) -> 메모리는 적정크기 -> nat -> LSI logic -> SCSI -> create a new virtual disk -> 기본값 20GB, multiple files
* 리눅스 설치
iso설정(centos) -> 소프트웨어 선택: 서버 gui 사용 , 개발용 도구 -> 파티션 수동 -> 표준 파티션 -> + -> boot, 1024 -> swap, 2048 -> /,*(남은 가용공간 전부) -> 네트워크&호스트 이름: 킴, 호스트이름설정 -> 사용자 설정
<파티션> Window: 용량에 따라 분류 Linux: 사용 목적에 따라 분류
<swap> //가상 메모리 하드 디스크의 일부분을 메모리처럼 사용하는 것으로 부족한 시스템 메모리 보완 통상적으로 시스템 메모리 * 2배 설정 ex) 1024(시스템 메모리) * 2 = 2048(swap) |
* 네트워크 대역 확인
edit->virtual network editor->NAT->-.-.-. 세번째 자리까지 자신의 네트워크 대역 -> NAT setting -> gateway IP: ~2
전원버튼 -> 유선네트워크 설정 -> 유선 활성화 -> 세팅 -> 자동으로 연결 -> ipv4 -> 수동 -> 주소(주소): 192.168.111.128/ 255.255.255.0/ 192.168.111.2/ DNS: 168.126.63.1 -> 활성화 껐다 키기
VM ware 터미널에서의 명령어 ifconfig (ip주소 확인)
<네트워크> '이더넷 카드 -> 라우터 -> 인터넷 환경' 의 경로를 거친다.
*이더넷 카드의 타입 -bridged networking: 실제 장치를 통해 외부와 통신이 가능/ 실제 host pc의 장치를 이용 즉, 직접적으로 공유기와 연결된 상태(가상머신의 ip 주소를 실제 ip주소와 동일하게 설정해야 한다.) -NAT: 주소 변환 장치/ 인터넷 가능(외부와 연결이 가능)/ 사설ip 공인ip를 통신시켜주는 장치(사설ip <-> 공인ip) -host-only networking: 위의 두 개와 달리 밖으로 나갈 수 없다. 안에서만 통신이 가능(host - guest) |
*원격접속 -> putty
- putty 최초 설정
appearance: 커서 blinks, 글꼴 Consolas 굵게 18
behaviour: full screen on Alt-Enter 체크
translation: UTF-8
SSH->Kex: 14,1,exchange 순서로 설정
- putty 접속
Host Name에 터미널에서 확인한 ip주소 입력 후 op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