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1. Linux 개요
    OS/Linux 기초 2019. 8. 19. 13:59

    (1)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운영체제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관리(자원관리)해주는 시스템의 한 부분으로 쉽게 말하면

    명령어를 전달하는 매개체라고 할 수 있다.

    < 자원관리>

    h/w: 키보드, 모니터, 마우드 등 메모리 관리

    s/w: cpu 스케쥴링, 응용 프로그램, 파일 입출력 관리 등

    *용도에 따른 구분

     - desktop os(clinet os): windows 95, 98, Me, vista, 7, 8, 10, mac os ...

     - network os(server os): windows server NT, 2008, 2012, 2016, linux, unix ...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에 따른 구분

     - single booting mode: 하나의 pc에서 하나의 os만 사용해 시스템 부팅 //가정집 pc

     - multi-booting mode: 하나의 pc에서 다수의 os를 사용해 시스템 부팅 //지금은 거의 사용하지 않음

     - virtual booting mode: VM ware, Virtualbox 등의 가상머신을 사용한 os 사용

        ex) window가 설치되어 있는 pc에서 VM ware를 이용해 linux를 설치한 경우

              -> window는 host os(pc의 os)/ linux는 guest os(VM ware의 os)

              -> 가상머신의 os는 폴더 형태로 저장되기 때문에 폴더 하나를 삭제하면 가상머신과 os가 삭제된다.

     

     

    (2) 리눅스 설치

    centos는 서버용 리눅스의 한 종류로 이후 모든 예시는 centso를 이용할 것이다.

    VM ware에서 centos를 실행 한 후 putty를 이용할 것이다. //다음 글에 자세히

    http://www.centos.org

     

    CentOS Project

    The CentOS Project The CentOS Project is a community-driven free software effort focused on delivering a robust open source ecosystem. For users, we offer a consistent manageable platform that suits a wide variety of deployments. For open source communitie

    www.centos.org

    *설치 순서 //일단 간단히 표시

    get centos -> DVD ISO/ Minimal ISO(아무거나) -> 상단의 Mirror List -> korea, kakao -> 7.6.1810(최신버전) -> isos/ -> x86_64 -> Everything-1810.iso

     

     

    (3) 리눅스의 개요

     -1971년: 벨 연구소 -> c 언어로 작성된 유닉스 운영체제 개발

     -1985년: 리차드 스톨만 ->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 -> GPL 라이센스 -> GUN project(커널 개발x)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은 당시 프로그램의 유료화 상황에서 폐쇄적인 성향과 반대로 등장한 재단이다.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센스(General Public License, GPL)는 다음 의무를 저작권의 한 부분으로 강제한다.>

    1. 컴퓨터 프로그램은 어떠한 목적으로든지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법으로 제한하는 행위는 할 수 없다. 
    2.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 복사본은 언제나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와 함께 판매하거나 소스 코드를 무료로 배포해야 한다. 
    3. 컴퓨터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를 용도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4. 변경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를 공개 배포해야 한다. 
    5. 변경된 컴퓨터 프로그램 역시 반드시 똑같은 라이센스를 취해야 한다.

    -1991년: 핀란드 헬싱키 대학생 리누스 토발즈(리눅스 개발자)

           -> 초기에는 교육용 유닉스(minix) 위에서 실행되는 kernel 버전으로 개발

           -> 이후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의 GUN project와 합쳐지면서 현재의 리눅스 형태 완성

     

     

    (4) 리눅스의 장점/특성

     -다중 사용자 시스템: 하나의 시스템에 다수의 사용자가 접근 가능

     -다중 처리 시스템: 동시에 여러개의 응용 프로그램 실행 가능

     -신뢰성: 기존 유닉스를 기반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효율적인 자원 관리가 가능

     -호환성: 하드웨어 드라이버 제작, 추가가 가능 //하드웨어 호환성 우수

     -보안성: 소스 공개가 되어있기 때문에 보안 결점 패치가 빠르게 진행 가능 by 전 세계 프로그래머들의 피드백

     -다양한 배포판: 많은 종류의 배포판으로 인해 사용자 목적, 편의에 따라서 선택 가능

     -네트워크 os: 타 시스템과 통신 원활

     -다양한 파일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무료, 오픈소스: 개발 친화적 성격의 운영체제

     

    https://pngtree.com/so/펭귄'>펭귄 png from pngtree.com

    'OS > Linux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기본 명령어_rm/ cat/ 파일 관련 명령어  (0) 2019.08.25
    5. 기본명령어_ls/ cp/ mv  (0) 2019.08.21
    4. 기본 명령어_cd  (0) 2019.08.19
    3. 주요 디렉토리  (0) 2019.08.19
    2. Linux 설치  (0) 2019.08.19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