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 run-level
    OS/Linux 기초 2019. 9. 7. 23:19

     

    run level이란 시스템 부팅(실행) 모드이며 centos 7대로 넘어가면서 형식이 변경 되었다.

     

    (1) ~ centos 6.x 

    centos 6.x 까지는 /etc/inittab 파일에서 설정이 가능하다.

     

    */etc/inittab

    0 - halt: 시스템 종료(기본값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1 - single user mode: 단일사용자(관리자), 비밀번호를 재설정하거나 파일시스템을 수정 할 때 사용 //윈도우 안전모드
    2 - multi user mode: 다중사용자, network 지원 X
    3 - full multi user mode: 다중사용자, network 지원 O
    4 - unused: 예약
    5 - X11: 그래픽 환경 부팅, 다중사용자, network 지원 O
    6 - reboot: 시스템 재부팅(기본값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id:3:initdefault:  //현재 시스템의 run level

     

    => run level 1~3 까지는 CLI(텍스트) 환경 부팅이다. 

    => id:[run level]:initdefault: 라인에서 run level의 단계를 변경 가능한다.

     

    (2) centos 7.x ~

    centos 7.x 부터는 run level 명칭이 target 형식으로 변경 되었다.

    systemctl get-default에서 기본 target을 확인할 수 있다.

     

    run level 0         -> poweroff.target

    run level 1         -> rescue.target

    run level 2, 3, 4   -> multi-user.target

    run level 5         -> graphical.target

    run level 6         -> reboot.target

     

    *기본 target 변경

     1. systemctl 변경

        -> systemctl set-default [사용할 target].target

     2. 사용할 target을 직접 링크하는 형식으로 변경

        -> ln -sf /usr/lib/systmd/system/[사용할 target].target /etc/sysremd/system/default.target

     

     

     

     

    'OS > Linux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 프로세스(process)  (0) 2019.09.07
    18. boot loader  (0) 2019.09.05
    17. 파티션(Partition)  (0) 2019.09.05
    16. 패키지_RPM, YUM  (0) 2019.09.02
    15. 압축  (0) 2019.09.01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