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17. 파티션(Partition)
    OS/Linux 기초 2019. 9. 5. 17:12

     

    파티션이란 하드디스크를 논리적으로 나눈 구역을 말하며, 하나의 디스크를 여러 개의 파티션으로 나눌 수 있고, 나눠진  파티션은 각각의 드라이브로 인식된다.

    하드디스크의 정보는 /dev/ 디렉토리 안에 있다.

    (1) Partition type

    1. primary partition(주 영역 파티션)

     -운영체제 설치가 가능한 파티션

     -최대 4개 생성 가능

     

    2. extended partition(확장 영역 파티션)

     -logical partition을 만들기 위한 일종의 틀

     -1개만 생성 가능

     

    3. logical partition(논리 영역 파티션)

     -extended partition안에서만 생성 가능

     

     

    (2) HDD type

    하드디스크의 타입(이름)은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부여된다.

     

    1. IDE: 병렬

     -hd + [문자]   -> SATA

      ex) hda, hdb, hdc, hdd ...

     //hdc는 HDD 명칭으로 사용이 불가하며, 이는 CD-ROM 명칭으로 예약 사용한다.

     

    2. SCSI: 직렬

     -sd + [문자]   -> SAS

      ex) sda, sdb, sdc, sdd ...

     

     

    (3) Partition 이름

    파티션의 타입은 1~4까지 사용자가 직접 부여 가능하다. 

    logical partition은 5번부터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부여된다.

     

    1. IDE HDD + [숫자]

       ex) hda1, hdb2, hdc3 ...

     

    2. SCSI HDD + [숫자]

       ex) sda1, sdb2, sdc3 ...

     

     

    (3) Partition 생성 순서

    1. HDD 추가하기

    -장치 추가 및 제거는 전원을 끄고 진행해야 한다.(가상머신 power off)

     

    2. 디스크 인식 확인하기

     -fdisk -l [장치명]

      ex) fdisk -l /dev/hd*   //IDE HDD 확인

           fdisk -l /dev/sd*   //SCSI HDD 확인

     -centos5.x까지는 IDE와 SCSI를 별도로 구분하여 표기하였으나, centos6.x부터는 SCSI로 통합하여 표기한다.

     

    3. 디스크 파티션 생성

     -fdisk [장치명]

        d: delete a partition (파티션 삭제)
        n: add a new partition (파티션 생성)
        p: print the partition table (파티션 목록 확인)
        q: quit without saving changes (저장하지 않고 나가기)
        w: write table to disk and exit (저장하고 나가기)

        //m 누르면 도움말 나온다.

     

    4. 파일 시스템 생성(format)

     -장치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주는 작업

     -mkfs(make filesystem)

     -mkfs -t [파일시스템] [장치명]

     -mkfs.[파일시스템] [장치명]

       ex) mkfs.xfs /dev/sda1

            mkfs -t xfs /dev/sda1

    <centos 기본 파일 시스템>

    * 5.x: ext3 / 6.x: ext4 / 7.x: xfs
    * xfs: 64bit 파일시스템, 대용량 파일 시스템
      -> 저널링 기능 포함 -> 신속한 복구, 빠른 재시작(복구옵션)

     

    5. 마운트(mount)

     -컴퓨터에 장치(파티션)를 인식시키는 작업

     -쓰고자 하는 장치(파티션)를 하나의 디렉토리랑 연결해주어 이 장치를 하나의 디렉토리처럼 사용한다.

     -설정: mount [장치명] [임의의 디렉토리(mount point)]

        ex) mount /dev/sda1 /linux

     -해제: umount [장치명] or [임의의 디렉토리]

     -마운트 간략히 보기: df -h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고 cd를 사용할 수 있다. 

    <mount 유의 사항>

    1. mount, umount 시에는 mount point만 아니라면 어느 곳이던 상관없다.

    2. 데이터가 있는 디렉토리를 mount point로 사용하지 않는다.

    3. 한 개의 파티션은 한 개의 mount point만 가지도록 한다.

    4. 작업(format, mount)하는 대상 파티션은 주 파티션과 논리 파티션뿐이다.

    5. 파티션 설정 완료 후 ..the new table will be used at the next reboot.. 메세지가 출력된다면 반드시 재부팅해라.

    <CD-ROM mount -> 패키지 설치>

    네트워크(인터넷) 연결 없이 패키지를 설치 할 수 있는 방법이다.

     

    * mariadb로 시작하는 패키지 설치 진행 실습

    - cdrom은 sr0에 링크되어 있으므로, mount /dev/cdrom /media 또는 mount /dev/sr0 /media  //cdrom /media에 mount

    - ls -l /media  //Packages라는 디렉토리 존재

    - ls -l /media/Packages  //패키지 파일

    - cd /media/Packages  //패키지를 설치할 때 설치 파일이 있는 곳으로 이동해야 한다.

    - find ./ -name "mariadb" 또는 ls -l mariadb*  //mariadb로 시작하는 패키지 찾기

    -rpm -ivh mariada~~

    //갈색 글자를 순서대로 입력하면 인터넷 연결 없이 패키지 설치 가능

     

     

    (4) 파티션 구성 변경

    파티션의 구성을 바꿀 때는 안에 있는 데이터의 보관 여부를 고민해야 한다. //백업작업 필요

     

    'OS > Linux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 프로세스(process)  (0) 2019.09.07
    18. boot loader  (0) 2019.09.05
    16. 패키지_RPM, YUM  (0) 2019.09.02
    15. 압축  (0) 2019.09.01
    14. umask  (0) 2019.09.01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