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15. 압축
    OS/Linux 기초 2019. 9. 1. 21:47

     

    (1) gzip/ bzip2

    *압축 //zip

    gzip [파일명]

    bzip2 [파일명]

    -> 압축을 하면 확장자가 붙고, 원본이 사라진다.

     

    *해제 //unzip

    gunzip [파일명] or gzip-d[파일명]

    bunzip2 [파일명] or bzip-d [파일명]

     

    *비교

      속도 압축률 확장자
    gzip 빠름 일정X .gz
    bzip 느림 일정O .bz2

     

     

    (2) 다중 압축

    *tar

    다중 압축을 하기위한 사전 작업으로 파일들을 묶어주는 역할을 한다. //보관소

    보관: tar -cvf [archiving file].tar [묶을 파일] //c: 생성, v: 보여줌, f:파일묶음 지정

    해제: tar -xvf [archiving file].tar //x: 풀기

           tar -xvf [archiving file].tar -C [경로]  //지정한 경로에 해제

    특징: 요청된 대상만 보관을 하지만 보관된 대상이 있는 경로만 묶임.

     

    *다중 압축

    파일 묶기 + 압축하기

    1. tar 파일을 gzip으로 압축 //z 사용

       ex) 압축: tar -cvfz /comp/bintest.tar.gz /bin/*
            해제: tar -xvfs /comp/bintest.tar.gz

       //묶기와 압축 따로

            tar -cvf /comp/bintest.tar /bin/*

            gzip /comp/bintest.tar


    2. tar파일을 bzip2으로 압축 //j 사용

       ex) 압축: tar -cvfj /comp/bintest.tar.bz2 /bin/*
            해제: tar -xvfs /comp/bintest.tar.bz2

       //묶기와 압축 따로

            tar -cvf /comp/bintest.tar /bin/*

            bzip2 /comp/bintest.tar

     

    -> 다중 파일은 bzip2의 압축률이 더 좋다.

    'OS > Linux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 파티션(Partition)  (0) 2019.09.05
    16. 패키지_RPM, YUM  (0) 2019.09.02
    14. umask  (0) 2019.09.01
    13. ACL (Access Control List)  (0) 2019.09.01
    12. 특수 권한  (0) 2019.08.28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