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1st. CES 2nd. GBT

Today
Yesterday
Total
  • 14. umask
    OS/Linux 기초 2019. 9. 1. 18:50

     

    (1) 정의 및 형식

    umask는 원하는 형태의 허가권을 가진 파일/디렉토리를 생성시켜주기 위한 값으로 제한할 허가권 값이다.

    umask 값 = [허용가능한 가장 높은 허가권] - [허용할 허가권]

     

    디렉토리와 파일의 기본 생성 허가권 확인

    umask의 디폴트 값이 022이기 때문에

    디렉토리의 기본 생성 허가권은 rwxr-xr-x(755), 파일의 기본 생성 허가권은 rw-r--r--(644)이다.

     

    즉,

    디렉토리의 umask : 777 - [허용할 허가권]

    파일의 umaks : 666 - [허용할 허가권]

    //파일의 경우 일반 문서 파일(<->실행파일)을 기준으로 계산한다.

    //파일의 허가권에 홀수가 있다면 x가 있다는 뜻이고 이는 실행 파일이라는 의미이다.

     

    (2) umask 설정

    *확인

    umask 명령어

     

    *설정

    1. 일시적인 변경

      -> umask [변경할 umask 값]

    2. 파일/디렉토리 umask 값 설정

      -> /etc/profile

    3. 사용자 홈 디렉토리 umask 값 설정

      -> /etc/login.defs

    //2, 3번은 vi를 통해 직접 값을 변경하는 것으로 1번과 달리 완전한 변경(재부팅해도 유지)이다.

     

    'OS > Linux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 패키지_RPM, YUM  (0) 2019.09.02
    15. 압축  (0) 2019.09.01
    13. ACL (Access Control List)  (0) 2019.09.01
    12. 특수 권한  (0) 2019.08.28
    11. 권한_소유권(ownership)  (0) 2019.08.28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