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
20. run-levelOS/Linux 기초 2019. 9. 7. 23:19
run level이란 시스템 부팅(실행) 모드이며 centos 7대로 넘어가면서 형식이 변경 되었다. (1) ~ centos 6.x centos 6.x 까지는 /etc/inittab 파일에서 설정이 가능하다. */etc/inittab 0 - halt: 시스템 종료(기본값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1 - single user mode: 단일사용자(관리자), 비밀번호를 재설정하거나 파일시스템을 수정 할 때 사용 //윈도우 안전모드 2 - multi user mode: 다중사용자, network 지원 X 3 - full multi user mode: 다중사용자, network 지원 O 4 - unused: 예약 5 - X11: 그래픽 환경 부팅, 다중사용자, network 지원 O 6 - reboot: 시스템 재..
-
19. 프로세스(process)OS/Linux 기초 2019. 9. 7. 22:44
프로세스는 컴퓨터(CPU)에서 실행되고 있는 모든 프로그램이다. (1) 종류 1. 포그라운드 프로세스(fore ground) ->화면에 보이는 상태에서 동작하는 프로세스 ->명령 입력 후 수행종료까지 기다려야 하는 프로세스 ex) 대화형 프로세스 2. 백그라운드 프로세스(back ground) ->화면에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동작하는 프로세스 ->사용자의 입력에 관계없이 실행되는 프로세스 ex) 데몬 프로세스(주기적이고 지속적인 서비스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백그라운드 상태에서 계속 동작하는 서버 프로세스) (2) 프로세스의 정보 확인 ps: 프로세스 확인 명령어 //option, grep과 함께 쓰임 -> ex) ps | grep sshd //sshd를 포함한 프로세스 확인 ps -ef: 모든 프로세스의..
-
18. boot loaderOS/Linux 기초 2019. 9. 5. 17:14
부트 로더란 초기 적재 프로그램으로 운영체제가 시동되기 이전에 미리 실행되면서 kernel이 올바르게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사전 작업을 마무리하고, 최종적으로 운영체제를 시동시켜주기 위한 목적을 가진 프로그램이다. (1)GRUB(Grand Unified Boot Loader) GNU에서 만든 멀티부팅 리눅스 부트로더 *grub 설정 파일 /boot/grub2/grub.cfg : 원본 /etc/grub2.cfg : 링크 ->편집금지: 관리자도 해당 파일을 직접적으로 편집하지 않는다. -> 설정 변경 시에는 /etc/grub.d/ 경로의 파일들, /etc/default/grub 파일을 편집해서 변경을 진행한다. -> 변경 사항을 원본 설정 파일에 적용 시에는 grub2-mkconfig 형식으로 설정 재적용을..
-
17. 파티션(Partition)OS/Linux 기초 2019. 9. 5. 17:12
파티션이란 하드디스크를 논리적으로 나눈 구역을 말하며, 하나의 디스크를 여러 개의 파티션으로 나눌 수 있고, 나눠진 파티션은 각각의 드라이브로 인식된다. 하드디스크의 정보는 /dev/ 디렉토리 안에 있다. (1) Partition type 1. primary partition(주 영역 파티션) -운영체제 설치가 가능한 파티션 -최대 4개 생성 가능 2. extended partition(확장 영역 파티션) -logical partition을 만들기 위한 일종의 틀 -1개만 생성 가능 3. logical partition(논리 영역 파티션) -extended partition안에서만 생성 가능 (2) HDD type 하드디스크의 타입(이름)은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부여된다. 1. IDE: 병렬 -hd + [..
-
16. 패키지_RPM, YUMOS/Linux 기초 2019. 9. 2. 11:15
패키지는 일종의 서비스로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프로그램은 여러 개의 패키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어떤 프로그램이 실행되려면 이에 필요한 모든 패키지가 설치되어야 한다. (1) 리눅스 패키지 설치 방법 1. tar & make: 소스 - 컴파일 - 환경설정 - 설치 - 실행 2. rpm: 설치 - 실행 3. yum: 인터넷 => rpm과 yum은 인터넷 연결이 필요하다. (2) 패키지 파일 구조 ex) vim-enhanced-7.0.109-3.i386.rpm 1 2 3 4 5 6 7 1. 패키지명(버전 앞의 -를 기준으로 왼쪽 문자열) //vim: 대표 패키지명 2. 주 버전(major) //version up 3. 보조 버전(minor): 치명적인 결함(오류,버그) 수정 횟수 //upgrade 4..
-
15. 압축OS/Linux 기초 2019. 9. 1. 21:47
(1) gzip/ bzip2 *압축 //zip gzip [파일명] bzip2 [파일명] -> 압축을 하면 확장자가 붙고, 원본이 사라진다. *해제 //unzip gunzip [파일명] or gzip-d[파일명] bunzip2 [파일명] or bzip-d [파일명] *비교 속도 압축률 확장자 gzip 빠름 일정X .gz bzip 느림 일정O .bz2 (2) 다중 압축 *tar 다중 압축을 하기위한 사전 작업으로 파일들을 묶어주는 역할을 한다. //보관소 보관: tar -cvf [archiving file].tar [묶을 파일] //c: 생성, v: 보여줌, f:파일묶음 지정 해제: tar -xvf [archiving file].tar //x: 풀기 tar -xvf [archiving file].tar -C..